맨위로가기

할슈타트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800년에서 450년 사이에 중앙 유럽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이다. 파울 라이네케의 연대기 분류와 브로치를 기준으로 한 오토 티쉴러의 연구를 통해 할슈타트 시대를 구분하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륜연대학과 상대 연대 측정을 활용한다. 이 문화는 HaC, HaD 시기로 나뉘며, 서부와 동부 지역으로 구분되어 매장 의례, 부장품, 예술적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인다. 할슈타트 문화는 소금 광산 개발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며, 그리스와의 교역을 통해 사치품을 수입했다. 주요 정착지는 언덕 꼭대기에 요새화되어 있었고, 엘리트 계급의 호화로운 무덤에서는 전차와 다양한 부장품이 발견되었다. 할슈타트 문화는 켈트 미술의 초기 형태를 형성했으며, 시툴라 미술의 영향을 받아 동부 지역에서 인물과 서사적 요소가 나타났다. 유적에서 소수의 문자 기록이 발견되었으며, 기념비적인 매장 둔덕은 천문 현상을 관찰하고 달력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할슈타트 문화는 이전 문화와 유전적 연속성을 보였으며, 켈트족은 지역 청동기 시대 인구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고고문화 - 루사티아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트슈치니에츠 문화에서 기원하여 철기 시대 유럽 사회 정치적 네트워크에 통합되었으며, 폴란드, 독일, 체코 등 중앙 유럽에 걸쳐 화장 매장, 요새화된 정착지 건설, 경작 농업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켈트 고고문화 - 라텐 문화
    라텐 문화는 할슈타트 문화 후기에 시작하여 기원전 6세기부터 로마에 정복될 때까지 중앙유럽에서 발전한 문화로, 금속 공예품을 통해 물질 문화 양식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 켈트 고고문화 - 골라세카 문화
    골라세카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포강 북쪽 지역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에트루리아 및 할슈타트 문화와의 교역, 독특한 매장 풍습, 레폰티어 문자 사용, 그리고 켈트족과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할슈타트 문화
문화
할슈타트 라텐
할슈타트 라텐
일반 정보
이름할슈타트 문화
다른 이름해당 없음
시대청동기 시대 후기, 철기 시대 전기
연대기원전 1200년 – 기원전 450년
할슈타트 A기원전 1200년 – 기원전 1050년
할슈타트 B기원전 1050년 – 기원전 800년
할슈타트 C기원전 800년 – 기원전 650년
할슈타트 D기원전 620년 – 기원전 450년
지역유럽
표지 유적할슈타트
이전과 이후
이전 문화언필드 문화
이후 문화라텐 문화

2. 연대기

파울 라이네케는 1902년에 독일 남부에서 발견된 자료를 바탕으로 청동기 시대 후기와 초기 철기 시대를 다음과 같이 네 시기로 나누었다.[112]


  • '''HaA''' (기원전 1200-1050 년)
  • '''HaB''' (기원전 1050-800년)
  • '''HaC''' (기원전 800-620년)
  • '''HaD''' (기원전 620-450년)[113]


오토 티쉴러는 1881년에 이미 독일 남부 무덤에서 발견된 브로치(옷핀)를 기준으로 북부 알프스 지역의 철기 시대를 유추했다.[114]

초기 철기 시대에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사용하기 어려운데, 이는 기원전 750년에서 400년 사이에 측정값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할슈타트 고원' 현상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 기간의 연대 측정은 주로 연륜연대학과 상대 연대 측정에 의존한다.

베링겐 (아우크스부르크 군)의 수레 무덤(Grave Barrow 8)에서 발견된 나무 조각은 HaC기의 시작을 기원전 778 ± 5년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115] 비록 HaC기에 대한 더 오래된 연륜 연대 측정 자료는 없지만, 철광석 처리 기술이 도입된 기원전 800년경을 할슈타트 시대의 시작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1846년 요한 게오르크 람자우어는 할슈타트 근교에서 대규모 선사 시대 묘지를 발견하여 발굴을 계속했다. 1863년까지 980구의 시신과 19,497점에 달하는 매장품이 발견되었다[110]。 이 묘지의 무덤은 대부분 기원전 7세기와 기원전 6세기의 것이다[111]。 할슈타트의 공동체는 이 지역에 있는 암염 광산에서 암염을 채굴했는데("halen"은 고대 켈트어로 "소금"을 의미한다), 이는 신석기 시대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5세기)부터 이어져 왔다. 묘지에서 발견된 부장품은 양식에 특징이 있으며, 이 양식으로 만들어진 것은 유럽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지속되었으며, 고고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4기로 구분된다.

  • 할슈타트 A기: 기원전 1200년부터 기원전 1000년까지
  • 할슈타트 B기: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전 800년까지
  • 할슈타트 C기: 기원전 800년부터 기원전 650년까지
  • 할슈타트 D기: 기원전 650년부터 기원전 475년까지


할슈타트 A기와 B기는 청동기 시대 후기에 해당한다. A기에는 빌라노반 문화의 영향이 나타나며, B기는 화장(火葬)이 주류를 이루지만 분묘(墳墓) 매장이 시작되었다. 좁은 의미의 "할슈타트 시대"는 C기와 D기로 한정되는데, 이는 초기 유럽 철기 시대와 시기가 겹친다. 할슈타트 D기 다음에는 라텐 문화가 시작되었다.

2. 1. 상대 연대 측정

HaC기는 민델하임형 도검, 쌍안 브로치, 하프 브로치, 아치형 브로치의 존재 여부로 연대를 측정한다.[115] HaD기는 브로치 형태 변화에 따라 세 단계(D1-D3)로 나뉜다. HaD1기에는 뱀 브로치가 우세했고, HaD2기에는 드럼 브로치가 더 자주 나타났으며, HaD3기에는 이중 드럼과 장식된 발 브로치가 나타난다.[114]

라텐 시대로의 전환은 체르토사(Certosa) 유형과 마르차보토(Marzabotto) 유형 브로치와 함께 최초의 동물 모양 브로치의 출현과 관련 있다.[114]

3. 지리적 구분

할슈타트 문화는 크게 서부와 동부 문화권으로 나뉜다.[103] 두 문화권은 매장 방식과 부장품에서 차이를 보인다. 서부에서는 엘리트 계층이 칼(HaC) 또는 단검(HaD)과 함께 매장되었고, 전차 매장이 행해졌다. 동부에서는 전사들이 도끼와 함께 매장되었고, 헬멧판갑 흉갑을 착용한 채 매장되는 경우가 많았다. 서사적 구성 요소를 가진 예술적 주제는 동부 지역의 도자기와 금속 공예에서만 발견된다.[104] 동부에서는 정착지와 묘지가 서부보다 더 클 수 있다.

두 하위 문화 사이의 대략적인 분할선은 동경 14도에서 15도 사이의 중앙 보헤미아와 오스트리아 저지를 통과하는 북-남 방향으로 이어지며, 이후 티롤주 동부 및 남부까지 알프스의 동쪽과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간다.

1846년 요한 게오르크 람자우어는 할슈타트 근교에서 대규모의 선사 시대 묘지를 발견하고 19세기 후반 발굴을 계속했다. 1863년까지 980구의 유체와 19,497점에 달하는 매장품이 발견되었다.[110] 이 묘지의 무덤은 기원전 7세기와 기원전 6세기의 것이 대부분이다.[111]

; 할슈타트 서부 문화권

: * 프랑스 북서부: 샹파뉴아르덴, 로렌, 알자스

: * 스위스 북부: 스위스 고원

: * 독일 남부: 슈바벤바이에른주 거의 전역.

: * 체코: 보헤미아

: * 오스트리아 서부: 포어아를베르크주, 티롤 북부, 잘츠카머구트

; 할슈타트 동부 문화권

: * 오스트리아 동부: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슈타이어마르크주

: * 체코 동부: 모라비아

: * 슬로바키아 남서부: 도나우 저지

: * 헝가리 서부: 헝가리 평원

: * 슬로바키아 동부: 슈타이에르스카 지방

: * 크로아티아: 흐르바츠코 자고리에

할슈타트는 서부 문화권의 주요 정착지였지만,[9] 오스트리아 슐름 계곡 중앙(오스트리아 그라츠 서쪽, 남부 슈타이어마르크주)에 위치한 부르크슈탈코겔은 할슈타트 C 시대의 주요 중심지였다. 이 정착지를 둘러싼 거대한 묘지의 일부는 오늘날 글라인슈테텐 근처에서 볼 수 있다.

4. 문화와 교역

할슈타트 지역 사회는 소금 광산을 활용하여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7] 이 소금 광산은 신석기 시대부터 채굴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최대 규모로 채굴되었다. 광산 작업장에서는 소금이 섬유, 나무, 가죽과 같은 유기 물질을 보존하여, 신발, 천 조각, 광부의 배낭을 포함한 도구 등 버려진 유물들이 좋은 상태로 보존되었다.[7]

요한 게오르크 람사우어는 할슈타트 근처에서 거대한 선사시대 묘지를 발견하고 발굴하여 1,300여 개의 매장지를 발견했는데, 부장품의 수와 풍요로움에 차이가 있는 많은 매장지가 있었지만, 생존 수준 이상을 암시하는 부장품을 포함한 비율이 높았다. 이들은 광부 자체가 아니라 광산을 통제하는 더 부유한 계층에서 왔을 것으로 생각된다.[8]

그리스와의 교역은 후기 할슈타트 시대 엘리트 무덤에서 발견된 아티카 흑색 그림 도기 유물을 통해 증명된다. 이는 아마도 마실리아(마르세유)를 통해 수입되었을 것이다.[29] 다른 수입 사치품으로는 호박, 상아(그라펜뷔헬 무덤에서 발견됨)와 와인이 있다. 붉은 코치닐 염료 또한 남쪽에서 수입되었으며, 호흐도르프에서 발견되었다. 주목할 만한 개별 수입품으로는 그리스의 빅스 크라테르(서양 고전 시대의 가장 큰 금속 용기), 생트-콜롬브-쉬르-센 묘지에서 발견된 에트루리아의 레베스, 그레취빌에서 발견된 그리스의 히드리아, 호흐도르프에서 발견된 그리스의 솥, 라보에서 발견된 그리스 또는 에트루리아의 솥 등이 있다.

독일 쾨니히스브룬의 할슈타트 문화 정착지 모형


가장 큰 정착지는 대부분 요새화되어 언덕 꼭대기에 위치해 있었으며, 청동, 은, 금 세공인의 작업장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요 정착지는 '군주의 자리'(독일어로 ''Fürstensitze'')라고 알려져 있으며, 엘리트 주거지, 부유한 매장지, 기념비적인 건물 및 요새가 특징이다.[30][31][32] 이 유형의 전형적인 유적지로는 상부 도나우강에 있는 호이네부르크와 몽 라소아가 있다.[16][35]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켈트족 도시 '피렌'은 호이네부르크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36][37][38]

다른 중요한 유적지로는 독일의 글라우베르크, 호엔아스퍼그, 이프와 오스트리아의 부르크슈탈코겔, 그리고 슬로바키아의 몰피르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착지는 훨씬 작은 마을이었다. 알테 부르크의 거대한 기념비적 유적지는 종교적 또는 의례적 기능을 했을 수 있으며, 게임과 경연 장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9][40]

할슈타트 시대 말기에 많은 주요 중심지가 버려졌고, 더 분산된 정착 패턴으로 돌아갔다. 도시 중심지는 기원전 3세기와 2세기 라텐 시대에 걸쳐 온대 유럽에서 다시 등장했다.[33]

할슈타트 말기에는 높은 지위의 인물들의 호화로운 무덤이 언덕 요새 근처에 만들어졌다. 부장품에는 전차, 재갈, 멍에 등이 포함된다. 전차가 출토된 무덤으로는 체코의 비치 스칼라, 빅스, 독일의 호흐도르프가 유명하다.

4. 1. 사회 구조

서부 할슈타트 문화의 물질 문화는 안정적인 사회 및 경제적 균형을 제공하기에 충분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600년경 마르세유의 건립과 그리스, 에트루리아 문화의 유입은 론 계곡을 따라 장거리 무역 관계를 낳았고, 이는 알프스 북쪽 할슈타트 정착촌에서 사회적, 문화적 변혁을 촉발했다. 라텐 문화의 특징이기도 한 지중해 세계의 사치품 재분배를 통제하는 강력한 지역 족장 사회가 등장했다.

독일 호이네부르크 모형


빅스 궁전, 프랑스 몽 라수아


할슈타트 D 문화의 비교적 평화롭고 번영했던 삶은 이 시대의 바로 마지막에 파괴되었거나 심지어 붕괴되었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이 있었지만, 여전히 불확실하다. 호이네부르크와 부르크슈탈코겔과 같은 대규모 정착지가 파괴되거나 버려졌고, 부유한 고분 매장이 중단되었으며, 기존의 고분이 약탈당했다. 아마도 서쪽으로의 상당한 인구 이동이 있었고, 뒤이은 라텐 문화는 서쪽과 북쪽에 새로운 중심지를 개발했으며, 그 성장은 할슈타트 문화의 마지막 몇 년과 겹쳤을 것이다.[11]

4. 2. 기술

기원전 800년경부터 철검이 더 흔해졌고,[49] 강철도 생산되기 시작했다.[50] 기원전 490년경 이후 영국에서 고탄소강 생산이 확인되었다.[51]

바퀴살 바퀴의 놀라운 균일성은 선반 가공과 같은 표준화된 생산 방식을 나타낸다.[52] 이 시대에 철제 타이어가 개발 및 개선되었고, 이는 라텐 시대에 수축식 타이어의 발명으로 이어졌다.[52] 물레 또한 할슈타트 시대에 나타났다.[53]

널빤지와 거대한 각목의 광범위한 사용은 긴 톱날과 아마도 두 사람이 사용하는 톱질을 사용했음을 나타낸다.[54] 실레시아의 건축 유적 분석 결과 표준 길이 단위 (0.785m) 사용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었다.[57] 피타고라스 삼각형직각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일부 건물은 피타고라스 사각형에 해당하는 치수를 가진 평면도를 가지고 있었다.[57]

4. 3. 매장 의례

할슈타트 문화의 매장 방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화장에서 매장으로 변화했으며, 항상 부장품이 함께 발견되었다.[41]

할슈타트 중심 지역에서는 이 시기 말엽(Ha D)에 요새화된 언덕 정착지 유적 근처에서 높은 지위의 인물들의 매우 호화로운 무덤이 큰 고분 아래에서 발견된다. 고분 무덤에는 나무로 둘러싸인 꽤 큰 규모의 묘실이 있었고, 그 안에 시신과 부장품이 놓여 있었다. 병거 또는 마차 매장도 있는데, 체코의 비치 스칼라(Býčí Skála)[42]와 브르노-홀라스키(Brno-Holásky)[43], 프랑스의 비크 무덤(Vix), 생트-콜롬브-쉬르-센 무덤(Graves of Sainte-Colombe-sur-Seine) 및 라보 무덤(Lavau), 독일의 호흐도르프 영주 무덤(Hochdorf), 호흐미헬레(Heuneburg#Hohmichele) 및 그라펜뷜(Hohenasperg|Grafenbühl), 오스트리아의 미터키르헨 등이 있다.[44]



납으로 만든 병거 모형이 켈텐벨트 프뢰크(Keltenwelt Frög), 케른텐 주(Carinthia)에서 발견되었으며, 말과 기수의 점토 모형도 발견된다. 나무로 된 "장례용 마차"는 아마도 영구차로 사용된 후 매장되었으며, 가장 웅장한 무덤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도자기 및 청동 용기, 무기, 청동으로 만든 정교한 장신구, 그리고 몇 개의 석조 묘비 (특히 유명한 히르슐란덴의 전사(Warrior of Hirschlanden)) 등이 이러한 매장에서 발견된다.[45] 서부의 영주 무덤에서 칼을 대체한 단검은 아마도 심각한 무기가 아니라 계급의 상징이었으며, 식탁에서 사용되었다.

5. 예술

오스트리아의 슈트레트베크 컬트 왜건, 기원전 600년경


벨트 플레이트의 전형적인 장식


서부 지역의 할슈타트 미술 후기 시대는 일반적으로 켈트 미술의 초기 시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61] 장식은 주로 기하학적이고 선형적이며, 무덤에서 발견된 금속 세공품에서 잘 나타난다. 스타일은 서부와 동부에서 차이가 있는데, 동부에서는 인물과 서사적 요소가 더 많이 나타난다. 물새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고, 동물은 다른 물체의 일부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인간보다 더 자주 등장했다. 서부에서는 전투 장면과 같은 서사적 내용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특징은 라텐 시대에도 이어졌다.[62]

수입된 고급 미술품은 후기 단계의 부유한 엘리트 무덤에서 발견되기도 했으며, 현지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다. 슈트레트베크 컬트 왜건,[63] 히르슐란덴의 전사, 호흐도르프 추장의 무덤에서 발견된 "외발자전거 타는 사람"이 받치고 있는 청동 소파와 같은 눈에 띄는 물건들은 할슈타트 시대의 발견물 중 유일하지만, 다른 시대의 물건과 관련될 수 있다.[64]

더 흔한 물건에는 무기가 포함되며, 할슈타트 D에서는 종종 곡선형 포크("안테나 손잡이")로 끝나는 손잡이가 있다. 금속 장신구에는 체인에 매달린 일련의 디스크가 달린 피불라, 팔찌, 일부 토크가 포함된다. 이것은 대부분 청동으로 되어 있지만, "군주" 무덤에는 금으로 된 물건이 포함되어 있다.

할슈타트 C부터 동부 지역의 서사적 장면은 북부 이탈리아와 북부 아드리아 해의 시툴라 미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시툴라는 청동 양동이로, 에트루리아와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은 지방 에트루리아 중심지에서 인물로 띠 장식을 하기 시작했다. 장식된 시툴라의 유행은 기원전 600년경부터 약 400년경까지 지속되면서 동부 할슈타트 지역을 포함한 인접 문화 전반으로 퍼져나갔으며, 바체 시툴라는 마지막 시대 부근에서 발견된 슬로베니아의 예이다. 이 스타일은 청동 벨트 플레이트에서도 발견되며, 모티프의 일부는 라텐 시대에 영향을 주었다.[65]

루스 메가우와 빈센트 메가우에 따르면 "시툴라 미술은 여성이 하인이나 성적 대상인 남성적 관점에서 본 삶을 묘사하며, 인간이 등장하는 대부분의 장면은 시툴라 자체가 등장하는 잔치, 사냥 또는 전쟁 장면이다."[66] 유사한 장면은 다른 선박 형태뿐만 아니라 청동 벨트 플레이트에서도 발견된다.[67] 초기의 전형적인 동물 행렬이나 인간은 근동과 지중해에서 유래했으며, 낸시 샌더스는 이 스타일이 "장인이 자신의 기질과 공예에 맞지 않게, 너무나 다른 방식으로 작업하는 예술가의 솜씨를 드러내는 ''어색함''"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유럽에서 유기적으로 발생한 초기 스타일과 비교하면 "시툴라 미술은 약하고 때로는 기이하며", "본질적으로 유럽의 것이 아니다."[68]

이탈리아의 베네벤티 시툴라를 제외하면, 남성은 머리카락이 없고 "재미있는 모자, 뚱뚱한 몸, 큰 머리"를 가지고 있지만 종종 매력적인 방식으로 유쾌하게 묘사된다. 베네벤티 시툴라는 또한 특정한 이야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는 점에서도 특이하다.[69]

오스트리아의 슈트레트베크 컬트 왜건(기원전 600년경)은 아르테미스와 유사한 사슴 여신 또는 '위대한 자연 여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70]

할슈타트 문화의 악기에는 하프, 리라, 치터, 목관악기, 팬파이프, 호른, 드럼, 딸랑이가 포함되었다.[71][72]

새겨진 장식이 있는 팔찌


호흐도르프에서 발견된 청동 리클라이너

6. 문자 기록

할슈타트 문화 유적에서 발견된 비문은 소수에 불과하다. 오스트리아에서 출토된 초기 철기 시대(Ha C, 기원전 800-650년) 철제 도구에 새겨진 표식이나 기호는 청동기 시대 골호 문화의 기호와 연속성을 보이며, 광업 및 금속 거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75] 기원전 800-500년경 오스트리아 할슈타트 묘지에서 출토된 시툴라 (솥)에 새겨진 비문은 에트루리아어 또는 고대 이탈리아 문자와 관련된 숫자, 문자, 단어로 해석된다.[74][76]



기원전 7세기에서 6세기 초 바이에른에서 출토된 무게추에는 그리스 문자나 에트루리아 문자와 유사한 기호가 새겨져 있다.[77] 기원전 7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 프랑스 동부 몽모로에서 출토된 현지 생산 도자기 파편에 새겨진 단어 하나짜리 비문(아마 이름일 것)은 골어 또는 레폰토어로, '원시 레폰토어' 또는 에트루리아 문자로 쓰여진 것으로 확인되었다.[78][79] 기원전 5세기 프랑스 동부 브라니쉬르손의 후기 할슈타트 유적에서 발견된 현지 도기에 칠해진 비문 파편과[80][81] 기원전 500년경 프랑스 동부 아프레몽 군주 무덤에 안치된 금잔에 새겨진 문자도 발견되었다.[80]

기원전 5세기 후반(라텐 A 시대 시작) 프랑스 북동부 베르제르레베르튀 인근 군주 묘지에서 또 다른 도기 파편 비문이 발견되었다. 이 비문은 레폰토 문자(Lepontic alphabet)로 쓰여진 켈트어 단어 "왕"으로 확인되었다. 올리비에(2010)는 "이 낙서는 켈트어에서 '왕'을 의미하는 ''rîx''의 가장 초기에 입증된 사례 중 하나이다. ... 또한 켈트 세계에서 장례 고고학적 맥락과 동시대 언어학적 자격(‘왕족’)이 처음으로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82] 베르제(1998)는 몽모로에서 출토된 기원전 7-6세기 비문은 "알파벳 기호 사용과 할슈타트 '군주 현상'의 출현, 발전 및 종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 전체에 걸쳐 동부 골에서 글쓰기 사용을 증명하는 아직 제한적인 일련의 문서의 시작이다. ... 7세기 말 또는 6세기 전반에 알파벳이 알프스 북쪽으로 처음 전파된 것은 5세기 후반까지 규칙적으로 갱신되는 과정의 시작인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83]

7. 달력

독일 글라우베르크와 마그달레넨베르크에 있는 기념비적인 매장 둔덕은 18.6년마다 발생하는 달 멈춤 지점에 맞춰 구조물이 세워졌다. 글라우베르크에서는 큰 도랑이 늘어선 '행렬 도로' 형태로 나타났고,[84] 마그달레넨베르크에서는 큰 목재 울타리로 정렬이 표시되었다.[85] 이러한 정렬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식은 여러 세대에 걸쳐 하늘을 장기간 관찰해야 했을 것이다.[84]

글라우베르크의 매장 둔덕, 토공사 및 '행렬 도로'(오른쪽)


글라우베르크 매장 둔덕과 재건된 기둥


글라우베르크에서는 둔덕과 관련된 다른 도랑과 구멍이 지점과 같은 천문 현상을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전체 앙상블은 달력 역할을 했다.[86][87][88] 고고학자 앨라드 미스에 따르면, 마그달레넨베르크 둔덕 내의 수많은 매장은 기원전 618년 하짓날에 나타난 별자리를 반영하도록 배치되었다고 한다.[85] 미스는 마그달레넨베르크가 음력 달력을 나타냈고 18.6년 달 멈춤 주기에 대한 지식으로 월식을 예측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89][90]

이 시대에 월식 주기에 대한 지식이 있었다는 추가적인 증거는 잉글랜드 피스커턴에서 발견되었는데, 위덤 강에 의례적인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된 나무 가교를 분석한 결과, 가교 목재가 사로스 월식 주기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잘려졌으며, 이는 건설자들이 이러한 주기를 미리 예측할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94][95]

8. 유전학

담가드 외(Damgaard et al.) (2018)의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600년에서 400년 사이에 리토미에르지체 근처 할슈타트 묘지에 묻힌 남성과 여성의 유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부계 R1b 하플로그룹을, 여성은 모계 하플로그룹 H6a1a를 가지고 있었다. 여성은 모계 하플로그룹 HV0의 보균자였다. 같은 연구에서 할슈타트 C 또는 초기 라 텐 문화에 속하는 5명의 유해를 추가로 조사했는데, 한 남성은 Y-G2a 하플로그룹을 가지고 있었고, 다섯 명의 여성은 mt-하플로그룹 K1a2a, J1c2o, H7d, U5a1a1 및 J1c-16261을 가지고 있었다. 할슈타트 문화와 라 텐 문화의 조사된 개인들은 이전의 종 모양 토기 문화와 유전적 연속성을 보였으며, 약 50%의 스텝 관련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

피셔 외(Fischer et al.) (2022)는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프랑스의 27개 지역에서 49개의 게놈을 조사했다.[1] 이 연구는 특히 남부 프랑스에서 두 시대 사이에 강력한 유전적 연속성을 발견했다.[1] 북부와 남부 프랑스의 표본은 매우 동질적이었으며, 북부 프랑스 표본은 스텝 관련 조상의 높은 수준으로 남부 표본과 구별되었다.[1] R1b는 압도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부계 계통이었고, H는 가장 흔한 모계 계통이었다.[1] 이들은 그레이트 브리튼과 스웨덴의 동시대 표본과 연결을 보였으며, 남부 표본은 켈티베리아인과 연결을 보였다.[1] 철기 시대 표본은 오늘날 프랑스, 그레이트 브리튼 및 스페인의 인구와 유사했다.[1] 증거는 할슈타트 문화의 켈트족이 주로 지역 청동기 시대 인구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1]

참조

[1] 간행물 Zur Chronologie der 2. Hälfte des Bronzealters in Süd- und Norddeutschland
[2] 서적 Mainzer Aufsätze zur Chronologie der Bronze- und Eisenzeit Habelt
[3] 간행물 Zur absoluten Chronologie der römischen Kaiserzeit im Freien Germanien
[4] 간행물 Chronologische Übersicht der vor- und frühgeschichtlichen Zeiten
[5] 간행물 Über die Formen der Gewandnadeln (Fibeln) nach ihrer historischen Bedeutung
[6] 간행물 Dendrochronologische Untersuchung der Hölzer des hallstattzeitlichen Wagengrabes 8 aus Wehringen, Lkr. Augsburg und andere Absolutdaten zur Hallstattzeit Beck'sche Verlagsbuchhandlung
[7] 문서 McIntosh, 88
[8] 문서 Megaw, 26
[9] 문서 Koch
[10] 문서 Megaw, 40
[11] 문서 Megaw, 48–49
[12] 서적 Salz-Reich. 7000 Jahre Hallstatt VPA 2
[13] 문서 Megaw 25, 29
[14] 웹사이트 Digital reconstruction of the Vix palace complex https://api.nakala.f[...] 2021
[15] 웹사이트 Digital reconstruction of the Mont Lassois oppidum https://api.nakala.f[...] 2021
[16] 웹사이트 Vix et le phénomène princier https://una-editions[...] 2021
[17] 서적 The Celts
[18]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19] 서적 Old Celtic Languages - Addenda
[20] 문서 Alfons Semler, ''Überlingen: Bilder aus der Geschichte einer kleinen Reichsstadt'', Oberbadische Verlag, Singen, 1949, pp. 11–17, specifically 15.
[21] 문서 "Celtophile," Ryan Setliff Online. Dec. 24, 2019. https://www.ryansetliff.online/#celtophile
[22]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23]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24] 서적 I Celti: una civiltà europea Giunti Editore 2003
[25] 서적 La necropoli delle Acciaierie di Terni: contributi per una edizione critica
[26] 서적 Carsulae svelata e Terni sotterranea Associazione Culturale UMRU - Terni
[27] 문서 Paul Gleirscher: Von wegen Illyrer in Kärnten. Zugleich: von der Beständigkeit lieb gewordener Lehrmeinungen. In: Rudolfinum. Jahrbuch des Landesmuseums für Kärnten. 2006, p. 13–22 ([https://www.zobodat.at/pdf/Rudolfinum_2006_0013-0022.pdf online] (PDF) in [[:de:ZOBODAT|ZOBODAT]]).
[28] 웹사이트 Kein Illyrikum in Norikum – Norisches Kulturmagazin https://naryore.eu/n[...]
[29] 문서 Megaw, 39–41
[3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uropean Iron Age https://www.oxfordha[...]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1] 간행물 The Complexity and Fragility of Early Iron Age Urbanism in West-Central Temperate Europe 2017
[32] 서적 Crossing the Alps: Early Urbanism between Northern Italy and Central Europe (900-400 BC) https://www.sideston[...] Sidestone Press 2020
[33] 간행물 Urbanization in Iron Age Europe: Trajectories, Patterns, and Social Dynamics 2018
[34] 간행물 Heuneburg: First city north of the Alps https://www.academia[...] 2012
[35] 문서 Megaw, 39–43
[36] 서적 Crossing the Alps https://www.sideston[...] Sidestone Press 2020
[37] 웹사이트 Heuneburg - Celtic city of Pyrene https://www.heunebur[...]
[38] 웹사이트 Herodotus, Histories, Book II: chapters 1‑98 https://penelope.uch[...]
[39] 서적 Late Prehistoric Fortifications in Europe: Defensive, Symbolic and Territorial Aspects from the Chalcolithic to the Iron Age https://www.archaeop[...] Archaeopress 2020
[40] AV media Digital reconstruction of the Alte Burg (2021) https://www.youtube.[...]
[41] 학술지 Evidence for dynastic succession among early Celtic elites in Central Europe https://www.nature.c[...] 2024
[42] 문서 Megaw, 28
[43] 학술지 Hallstatt Magnate Graves from Brno-Holásky 1 and 2 in the Central European Context https://www.academia[...] Archaeologiae Regionalis Fontes 2018
[44] 문서 Megaw, 41–43, 45–47
[45] 문서 Megaw, 25-30; 39–47
[46] 서적 Bronze Age Fortresses in Europe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9
[47] 서적 The Archaeology of Celtic Ar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48] 서적 The Celti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49] 문서 Sandars, 209
[50] 서적 The Celti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51] 웹사이트 East Lothian's Broxmouth fort reveals edge of steel https://www.bbc.co.u[...] 2014-01-15
[52] 서적 The Celti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53] 문서 Megaw, 43–44
[54] 서적 The Celti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55] 서적 The Celti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56] 서적 Vix (Côte-d'Or), une résidence princière au temps de la splendeur d'Athènes https://en.calameo.c[...] DRAC Bourgogne - Service Régional de l’Archéologie 2011
[57] 서적 Architecture, style and structure in the early iron age in Central Europe https://www.research[...] Uniwersytet Wrocławski Instytut Archeologii 2017
[58] 문서 Megaw, 34
[59] 웹사이트 Char de la Côte-Saint-André https://lugdunum.gra[...]
[60] 논문 Two Bridles and a Yoke. A new study into the horse gear from the chieftain's burial of Oss https://www.academia[...] Leiden University 2012
[61] 문서 Megaw, 30
[62] 문서 Megaw, Chapter 1; Laing, chapter 2
[63] 문서 Megaw, 33-34
[64] 문서 Megaw, 39-45
[65] 문서 Megaw, 34-39; Sandars, 223-225
[66] 문서 Megaw, 37
[67] 문서 Sandars, 223-224
[68] 문서 Sandars, 225, quoted
[69] 문서 Sandars, 224
[70] 서적 Sacred Places and Epichoric Gods in the Southern Alpine Area - Some Aspects (Marjeta Šašel-Kos, 2000) https://books.opened[...] Ausonius Éditions 2000
[71]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Musical Instruments and Sound Objects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La Tène Period in the Area between the River Salzach and the Danube Bend https://www.academia[...] 2016
[72] 학술지 Stringed instruments of the Hallstatt culture – From iconographic representation to experimental reproduction https://www.academia[...] 2020
[73] 문서 Megaw
[74] 서적 Das grabfeld von Hallstatt in Oberösterreich und dessen alterthümer https://catalog.hath[...] W. Braumüller, Vienna 1868
[75] 서적 Symbolgut Sichel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3
[76] 서적 Symbolgut Sichel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3
[77] 서적 Eliten in der Bronzezeit https://www.academia[...] Romisch-Germanisches Zentralmuseum 1999
[78] 웹사이트 JU·1 https://lexlep.univi[...]
[79] 학술지 Note sur un graffite archaïque provenant de l'habitat hallstattien de Montmorot (Jura) https://www.persee.f[...] 1998
[80] 학술지 Note sur un graffite archaïque provenant de l'habitat hallstattien de Montmorot (Jura) https://www.persee.f[...] 1998
[81] 학술지 Une éphémère tentative d'urbanisation en Europe centre-occidentale durant les VIe et Ve siècles av. J.‑C. ? https://www.persee.f[...] 2013
[82] 학술지 Un graffite en caractères lépontiques du Ve siècle av. J.-C. provenant de la nécropole gauloise de Montagnesson à Bergères-les-Vertus (Marne) https://www.academia[...] 2010
[83] 학술지 Note sur un graffite archaïque provenant de l'habitat hallstattien de Montmorot (Jura) https://www.persee.f[...] 1998
[84] 학술지 Space as the Stage: Understanding the Sacred Landscape Around the Early Celtic Hillfort of the Glauberg https://www.academia[...] 2019
[85] 학술지 Der Sternenhimmel vom Magdalenenberg. Das Fürstengrab bei Villingen-Schwenningen – ein Kalenderwerk der Hallstattzeit https://journals.ub.[...] 2007
[86] 서적 From Landscape Archaeology to Social Archaeology. Finding Pattern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Early Celtic "Princely Sites" in Middle Europe. In: J. T. Clark/E. Hagemeister (eds.), Digital Discovery. Exploring New Frontiers in Human Heritage. https://www.academia[...] Archaeolingua
[87] 웹사이트 Princely Seats and Surroundings: The Glauberg http://www.fuerstens[...] 2010
[88] 웹사이트 The Glauberg calendar – Glauberg Museum display https://tourismus.we[...]
[89] 웹사이트 Magdalenenberg: Germany's ancient moon calendar" Current World Archaeology, Nov 2011 https://www.world-ar[...] 2011-11-06
[90] 서적 Neue Forschungenzum Magdalenenberg, Archäologische Informationenaus Baden-Württemberg https://www.academia[...]
[91] 서적 The Human Body in Early Iron Age Central Europe: Burial Practices and Images of the Hallstatt World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16
[92] 서적 Nuncius Hamburgensis, Volume 8: Prähistorische Astronomie und Ethnoastronomie https://www.fhsev.de[...] 2008
[93] 웹사이트 Orione ed il principe celtico di Hochdorf https://www.research[...] 2018
[94] 서적 Fiskerton: Iron Age Timber Causeway with Iron Age and Roman Votive Offerings https://www.jstor.or[...] Oxbow Books 2003
[95] 웹사이트 Altar of the Druids https://www.newscien[...] 2002
[96] 학술지 Himmelsscheibe, Sonnenwagen und Kalenderhüte - ein Versuch zur bronzezeitlichen Astronomie https://journals.ub.[...] 2008
[97] 웹사이트 Golden Ceremonial Hat ("Berlin Gold Hat") https://artsandcultu[...]
[98] 학술지 Die Bergsonnenuhr von Hallstatt https://www.zobodat.[...] 1953
[99] 서적 Der Himmel über dem Menschen der Steinzeit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mbH 1970
[100] 학술지 Das Belchen-System https://www.e-period[...] 1988
[101] 학술지 La question de l'art géométrique des Celtes https://www.persee.f[...] 2010
[102] 학술지 A Definitive Reconstructed Text of the Coligny Calendar https://www.academia[...] 2001
[103] 문서 Koch; Kossack (1959); N. Müller-Scheeßel, Die Hallstattkultur und ihre räumliche Differenzierung. Der West- und Osthallstattkreis aus forschungsgeschichtlicher Sicht (2000)
[104] 문서 Megaw
[105] 웹사이트 Crossing the Alps: Early Urbanism between Northern Italy and Central Europe (900-400 BC), p.319 https://www.sideston[...]
[106] 웹사이트 Mount Ipf in southern Germany. The fortification, spatial organization and territory of a “Princely Seat” of the Early Iron Age https://una-editions[...]
[107] 웹사이트 STIEGEN-BLOG Archäologische Forschung Hallstatt: Mythos Hallstatt - Eine Dokumentation von Terra Mater http://hallstatt-for[...] 2018-11-08
[108] 웹사이트 Dokumentarfilm "Terra Mater: Mythos Hallstatt" https://www.uibk.ac.[...] 2019-01-15
[109] 웹사이트 Mystery of the Celtic Tomb https://www.terramat[...] 2019-01-15
[110] 서적 図説ケルトの歴史 文化・美術・神話をよむ 河出書房新社
[111] 서적 図説ケルト 東京書籍 2000-06
[112] 간행물 Zur Chronologie der 2. Hälfte des Bronzealters in Süd- und Norddeutschland Korrespondenzbl. d. Deutsch. Ges. f. Anthr., Ethn. u. Urgesch. 1902
[113] 간행물 Chronologische Übersicht der vor- und frühgeschichtlichen Zeiten Bayer. Vorgeschichtsfreund 1921—1922
[114] 간행물 Über die Formen der Gewandnadeln (Fibeln) nach ihrer historischen Bedeutung. Zeitschrift für Anthropologie und Urgeschichte Baierns 1881
[115] 서적 Dendrochronologische Untersuchung der Hölzer des hallstattzeitlichen Wagengrabes 8 aus Wehringen, Lkr. Augsburg und andere Absolutdaten zur Hallstattzeit Beck'sche Verlagsbuchhandlung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